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NEWSLETTER/경제 LETTER334

트럼프는 왜 캐나다와 멕시코에 관세를 부과하려고 할까? 최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1일부터 멕시코와 캐나다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엄포를 놨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 각을 세우는 건 미·중 패권 경쟁이라는 명확한 배경이 있어 어느 정도 이해가 가는데요. 하지만 멕시코와 캐나다 같은 이웃 국가마저 트럼프의 강경책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은 다소 의아하게 느껴집니다. 그런데 이런 갈등 역시 단순한 감정적 반감이 아닌, 고도로 계산된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도대체 왜 트럼프는 가장 가까운 이웃이자, 경제적으로도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두 나라를 타깃으로 삼았을까요?북미 3국, 무슨 관계일까?🇺🇸🇨🇦 미국과 캐나다, 영국의 식민지에서 군사 동맹으로미국과 캐나다는 18세기 모두 영국의 식민지였지만, 미국의 독립 전쟁을 기점으로 서로.. 2025. 1. 29.
신뢰의 상징 미국 국채, 미국 국채 금리가 뭐야? 경제 뉴스에서 빠지지 않는 미국 국채금리. 미국 국채금리 변화에 주가가 요동치기도 하고, 전 세계 채권 금리가 흔들리곤 하죠. 이렇듯 미국의 국채금리는 글로벌 금융 시장의 방향과 투자 심리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인데요. 오늘은 어렵게만 느껴졌던 미국 국채금리의 개념과 의미를 쉽게 풀어보려 합니다.미국 국채금리의 의미는?미국 국채금리는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의 이자율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정부가 돈을 빌리면서 투자자들에게 약속하는 수익률인데요. 미국 국채금리는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금융 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미국 국채가 전 세계에서 가장 신뢰받는 안전자산으로 여겨지기 때문이죠. 🌎 글로벌 금융 시장의 기준점미국 국채금리는 세계 금융 시장에서 중요한 기준점(Benchmark) 역할을 .. 2025. 1. 20.
IMF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2.0%로 낮춰, 정부도 경제 위축 우려 뒷걸음치는 경제성장률📉 IMF, 한국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지난 17일,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2.0%로 전망했습니다. 작년 10월 전망치(2.2%) 대비 0.2%P 하향 조정된 건데요. 전 세계(+0.1%P), 미국(+0.5%P), 중국(+0.1%P)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작년 10월에 비해 상향된 것과 대조적이죠. 🤷 왜 떨어졌어?하향 조정의 원인으로는 불확실한 대외 여건, 장기화하는 내수 부진 등이 꼽힙니다.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 입장에선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확대, 중동 정세 불안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이 변수인데요. 한편, 이번 발표엔 계엄과 탄핵 이후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진 점은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국내 전망치는 더 암울해지난 14일엔 더 암울.. 2025. 1. 20.
환율이 오를 때 수익도 같이 오르는 달러보험, 뭐가 좋을까 미국 대선 직후 대외적 불확실성이 커진 요즘, 국내 정치 불안감까지 가중되면서 달러/원 환율이 내려올 기미를 보이지 않습니다. 그런데 오히려 환율이 높을 때 막대한 수익을 낼 수 있는 재테크가 있다고 하는데요. 고환율 시대에 한 방을 노려볼 수 있는 달러 보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달러 보험이 뭐길래?💲 내는 것도, 받는 것도 달러로 하는 달러 보험달러 보험이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보험의 체계가 달러로 돼 있는 보험을 말합니다. 달러로 보험료를 내고 만기 기점엔 달러로 보험금을 수령하는 상품인데요. 최근 달러 환율이 크게 오르면서, 안전자산인 달러에 투자하고, 환차익까지 얻을 수 있는 재테크로 인기를 끌죠. 물론, 달러를 일일이 환전해서 넣을 필요는 없습니다. 보험사의 환전 특약 서비스에 따라 달.. 2025. 1.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