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NEWSLETTER/경제 LETTER334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트럼프: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트럼프가 꺼내든 무기지난 10일(이하 현지 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전 임기 때도 철강에 25%, 알루미늄에 10%의 관세를 매긴 적이 있는데요. 이번엔 알루미늄의 관세 비율을 높여 또다시 수출국을 혼란스럽게 했습니다.🛡 상호 관세도 시작한다고?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1일이나 12일에 상호 관세도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미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불리한 교역 조건을 적용하는 국가에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운 적이 있는데요. 아직 상호 관세의 정확한 범위나 수준에 대해선 밝히지 않았지만, 발표 직후 상호 관세가 적용될 것으로.. 2025. 2. 11. 사상 최고치 기록한 금, 이유는? 지난달 31일,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작년에도 금값은 꾸준히 상승했지만, 올해 들어 상승 속도가 더욱 빨라졌는데요. 금값이 이렇게까지 오른 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으로 경제적, 정치적 불확실성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금은 위기의 순간에서 가격이 올라가는 안전자산으로 꼽힙니다. 전쟁과 금융위기 같은 혼란이 찾아왔을 때 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금값이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은 아닙니다. 오늘은 최근 금값 상승의 원인과 금의 역사적 의미, 그리고 금 투자에 대한 오해까지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사상 최고치 기록한 금, 이유는?🇺🇸 트럼프 재선과 정치적 불확실성최근 금값 급등을 이끄는 가장 큰 요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입니다.. 2025. 2. 4. 연말 특수까지 사라지면서 내수 얼어붙어, 정치권은 추경 편성 논의 중 연말 소비 심리 꽁꽁🥶 열리지 않는 지갑작년 12월, 연말 소비 심리가 얼어붙으면서 한국은 최악의 소비 절벽을 맞았습니다. 내수 상황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지수가 전월 대비 0.6%,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3.3% 감소한 건데요. 보통 연말연시에 각종 할인 행사를 맞아 소비자의 지갑이 열리곤 하는데, 작년에는 계엄 사태와 더불어 사회적 불안이 이어지면서 되레 소비가 줄어버렸습니다. ❌ 줄줄이 취소되는 모임특히, 정치적 혼란과 함께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추모 분위기까지 더해지면서 일부 서비스 업종도 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송년회, 신년회 등 각종 모임이 취소되면서 숙박·음식점업 소비는 전월 대비 3.1% 줄었고, 여가 관련 서비스업의 소비는 6.9% 급감했죠.😱 극한까지 몰린 자영업자소비가 살아.. 2025. 2. 4. 뉴욕증시 흔들은 딥시크 쇼크, 딥시크가 정확히 뭐야 최근 인공지능(AI) 시장은 중국의 ‘딥시크’로 난리가 났습니다. 뉴욕증시를 흔들어 놓아 ‘딥시크 쇼크’라는 말이 붙을 정도였는데요. “AI의 스푸트니크 모먼트가 왔어!”는 반응까지 나왔죠. 🔍스푸트니크 모먼트: 특정 분야에서 후발 주자가 선발 주자를 앞지르는 현상을 말해요. 1957년 냉전 시대 당시 소련(러시아)이 미국에 앞서 인류 최초로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했을 때 미국인들이 받은 충격에서 유래됐습니다.딥시크가 정확히 뭐야?딥시크는 중국 AI 스타트업으로, 지난 20일 추론 특화 AI 모델인 ‘딥시크-R1(R1)’을 출시했습니다. R1의 성능 테스트 결과, 미국 수학 경시대회 벤치마크 테스트와 코딩 테스트에서 각각 79.8%, 63.4%의 정확도를 기록했는데요. 오픈AI가 지난해 9.. 2025. 2. 3. 이전 1 2 3 4 ··· 8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