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자10 금리 오르기만 하더니, 이번에는 내릴까? 🎉금리 오르기만 하더니! 맞아요. 그동안 물가 잡는다고 금리를 쭉 올려왔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22년 만에 5.5%로 최고치를 찍기도 했는데요. 요즘은 좀 더 버티면 금리가 내릴 수도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 물가 잡힌다 10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망치보다 0.1%P 낮았습니다. 식품·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2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이를 통해 물가 상승률이 잡혀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침체 직전이다 또한, 미국 경제가 침체 상황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금리가 높아지면 시장에 돈이 돌지 않아 경기침체에 빠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실업률이 높아지고 대출 연체가 많아지는 등 경기가 시들해 보이는 상황입니다. 기업 실적이 좋음에도 불.. 2023. 11. 24. 11.24 간략스 NEWSLETTER 미국 증시, 평소보다 일찍 닫아요 현지 시간 24일, 미국은 최대 소비 축제 ‘블랙프라이데이’를 맞습니다. 이날 미국 증시 마감시간도 당겨져서 오후 1시에 닫혀요. PMI 지표가 발표돼요 미국 11월 서비스업, 제조업 PMI 예비치가 발표됩니다. 각 업계의 업황이 위축됐는지, 확장됐는지 볼 수 있는 지표인데요, 서비스업의 경우 업황 확장으로 전망되지만, 10월에 비해서는 기대감이 낮아요. FOMC 11월 초, 미국 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했었습니다. 이 회의의 의사록이 공개됐는데요, 높은 금리를 꽤 오랜 기간 유지할 거라는 맥락의 이야기가 나왔었어요. 해고 미국 4대 은행 중 하나인 ‘씨티그룹’이 대규모 구조조정 중입니다. 이번에 나온 해고안에서는 고위관리자 300여 명이 대상이지만, 앞으로 .. 2023. 11. 24. 어느 장단에 맞춰야할까? 주담대 다시 3%대로 📊 오락가락 금리 두 달 전까지만 해도 찾아볼 수 없었던 연 3%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최근 돌아왔습니다. 기준금리가 3.5%로 그대로인데 주담대 금리가 3%대로 내려가면서 의아하다는 분위기가 감돕니다. 📢 상생 금융이라는 주문 주담대 금리 하락의 배경엔 정부의 압박이 있었다는 해석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은행권이 시민을 대상으로 ‘갑질’을 한다며, 높은 이자 이익을 챙긴 은행권을 저격했는데요. 은행이 정부의 상생 금융 권고를 의식했다는 거죠. 🔥 불난 집에 부채질? 주요 시중 은행의 주담대 금리가 낮아지면서 가계부채 관리가 수포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 현재 우리나라 가계 부채 규모는 1,875조 6,000억 원으로 역대 최대인데요. ‘빚 내서 집 사라’는 신호가 퍼지면서 .. 2023. 11. 23. 11.21 간략스 NEWSLETTER 국내 증시 상장 21일 오늘, ‘동인기연’이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상장합니다. 같은 날 ‘에코아이’는 코스닥에 상장하고, ‘에이텀’은 상장을 앞두고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을 받아요. 이번 주 중요한 두 가지 일정 현지 시간 21일, FOMC 의사록이 발표됩니다. 10월 31일~11월 1일 진행된 FOMC에서 어떤 발언이 나왔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같은 날, 장 마감 후 엔비디아의 실적이 공개될 예정이에요. 가계대출, 그리고 물가지표 오늘 우리나라의 3분기(7~9월) 가계신용 잠정치와 10월 생산자물가지수가 발표됩니다. 가계신용의 대부분이 가계대출이에요. 골든게이트 지난 17일, 미국에서 열린 APEC이 다양한 국가 간 자유로운 무역을 지지하는 ‘골든게이트’라는 키워드를 남기고 폐막했습니다. 여러.. 2023. 11. 21.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