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1380 금융감독원, 두산 자회사 합병에 또다시 제동을 걸어 금감원에 막힌 합병😲 금감원, 두 번째 정정 요구두산그룹은 최근 로봇 제조 자회사인 두산로보틱스와 건설 장비 생산 자회사 두산밥캣의 합병을 추진 중입니다. 그런데 지난 16일, 금융감독원(금감원)이 합병에 제동을 걸었습니다. 지난 7월에 이어 두산로보틱스가 제출한 증권신고서에 대해 정정을 요구한 건데요. 이복현 금감원장은 부족함이 있다면 횟수 제한 없이 정정 요구를 하겠다며 강경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 보완 요구한 이유는?금감원은 신설법인의 가치 평가 근거가 부족하다는 점을 문제 삼았습니다. 두산밥캣 지분을 소유한 두산에너빌리티의 신설 투자 자회사의 가치를 평가한 근거가 제대로 기재되지 않았다는 지적이죠. 😠 설명도 부족했어금감원은 의사결정 과정이나 내용도 충분히 제공되지 않았다고 봤습니다. 합병.. 2024. 8. 29. 텔레그램에 숨은 딥페이크 성범죄, 수갑 찬 텔레그램 CEO 텔레그램에서 무슨 일이?🎭 딥페이크, 본격적인 문제가 되다딥페이크를 악용해 허위 영상물을 생성·유포하는 텔레그램 단체 대화방이 연이어 발견됐습니다. 참여 인원만 전 세계 22만 명에 달하는 음란물 제작 채널까지 존재할 정도로 최근 관련 문제가 불안을 키우는데요. 🔎 딥페이크: 인공지능의 딥러닝(Deep Learning)과 가짜(Fake)를 합친 단어로, 인공지능을 이용해 사람의 이미지나 영상, 음성 등을 합성하는 기술입니다. 인공지능의 발전과 함께 딥페이크로 인한 가짜뉴스, 성범죄 등이 사회 문제로 떠올랐습니다. 📲 겹지방이 뭔데?이번 사건의 주축이 된 채널은 ‘겹지인방’(겹지방)이었습니다. 이용자가 서로 같이 아는 여성의 사진과 정보를 공유하고, 딥페이크로 음란물을 제작·유포한 것이죠. 지역별, .. 2024. 8. 29. 정부 2025년 예산안 발표, 내수 둔화를 외면한 지나친 긴축 예산 비판 내년 정부 씀씀이 667조😕 허리띠 졸라맨 예산27일, 정부가 667조 4천억 원 규모의 내년도 예산안을 내놨습니다. 올해 대비 지출이 20조 8천억 원가량 늘어 증가율이 3.2%에 불과했는데요. 경상성장률(경제성장률+물가상승률) 전망치인 4.5%는 물론 국세 수입 증가율 전망치(4.1%)에도 미치지 못하는 긴축 예산입니다.💸 나랏빚 줄여야 해!작년 56조 원에 이어 올해도 10~20조 원 규모의 세수 펑크가 예상되는 등 경기 침체에 예상치 못하게 나랏빚이 늘었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재정 건전성 확보를 강조하면서 20조 원의 지출 구조조정까지 단행했는데요. 이에 내년도 관리재정수지 적자 규모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2.9% 수준으로, 집권 3년 만에 처음으로 재정 준칙으로 정한 3% 이하를 기록할.. 2024. 8. 29. 우리나라 가계부채, 얼마나 심각할까 🔎 3줄 요약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세계적으로 봐도 심각한 수준입니다. 2008 금융위기 이후 이어진 저금리, 은행권의 가계대출 선호 등이 원인인데요. 가계부채 증가는 경제 성장과 효율적 자원 배분을 가로막는 만큼 강력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정부가 가계부채와의 전쟁을 선포했습니다. 최근 금리 인하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대출을 동원한 부동산 투자가 급증했기 때문인데요. 특히 서울을 중심으로 전세를 끼고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집을 사는 갭투자가 기승을 부리면서, 주택 관련 대출이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7월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약 560조 원으로 전달 대비 7조 6천억 원가량 늘었는데, 이는 통계 집계 후 역대 최고 증가 폭이죠. 안 그래도 심각한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문제가.. 2024. 8. 26. 이전 1 ··· 61 62 63 64 65 66 67 ··· 34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