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380

지방대학 소멸화, 글로컬 대학 대안될까? 대학에 남는 의자가 늘어갑니다 출생아 수 감소 여파가 초중고는 물론, 지방대, 수도권 대학까지 미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학령인구, 즉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인구는 1980년에 1,440만 명에 달했지만, 올해는 725만 9천여 명으로 절반 가까이 줄었습니다. 어제오늘 일이 아니에요 ‘지방대 소멸’ 위기는 오래전부터 중요한 이슈였습니다. 2023년 정시 모집에서 경쟁률 3 대 1을 넘지 못한 대학은 68곳이었으며, 이 중 59곳이 지방대였습니다. 2040년에는 지방대 중 60%가 소멸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습니다. 특히 전남, 울산, 경남 지역에서는 이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다가올 것으로 보입니다. 글로컬 대학, 대안 될까요? 정부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글로컬 대학’ 사업을 .. 2023. 11. 16.
일부 업종만 "주 69시간제" 일부 업종과 직종만 고치기로 했어요 지난 13일, 정부는 노동 개혁 개편안을 다시 발표하였습니다. 8개월 전에 제시했던 ‘주 69시간’에서 한 걸음 물러나, 기본 근로 시간 40시간에 연장근로 12시간을 더한 주 최대 근로 52시간제를 유지하되, 일부 업종과 직종에서만 연장근로 단위를 확대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실제 시행은 좀 애매해요 그러나, 이에 대한 세부 사항은 아직 명시되지 않았습니다. 연장근로 단위 변경이 필요한 업종 및 직종으로는 제조업과 설치, 장비, 생산직이 주로 언급되며, 연장근로 최대 단위는 주 60시간 이내에서 결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총량 변경이 아닌, 단위 변경이에요 근로 시간 제도 개편안의 핵심은 근로 시간의 총량 변경이 아니라, 근로 시간 관리 단위의 변경에 있습니다. 즉, .. 2023. 11. 16.
"내줄돈 없다" 역전세난 끝나나? 작년부터 아파트 가격이 지속해서 하락하면서 전셋값도 같이 떨어지고 있다는 얘기가 많이 나왔습니다. 그러나 올해 들어서는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전셋값이 점차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역전세난이 이제 끝나는 것이냐?"라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역전세난? 들어본 것 같은데... 전세난은 전셋집을 구하기 어려운 상황을 말하는데요. 역전세난은 전셋집을 나가고 싶지만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해 방을 빠져나가기 어려운 상황을 가리킵니다. 일반적으로 전세 계약이 끝날 때 집주인은 다음 세입자를 구하여 그 돈으로 이전 세입자의 전세금을 돌려줍니다. 그러나 전세가가 떨어져 이전 세입자에게 돌려줄 돈이 새 세입자에게 받을 돈보다 많아지면, 집주인이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이를 .. 2023. 11. 16.
11.16 간략스 NEWSLETTER 자외선차단제 관련 시장의 숨은 강자 오늘(16일)부터 이틀간, ‘에이에스텍’의 공모주 청약이 진행됩니다. 에이에스텍은 ‘유기자차’라고 부르는 자외선차단제 원료 물질을 생산하는 업체예요. 글로벌 자외선차단제 원료 시장을 주름잡아 온 업체들도 에이에스텍으로부터 원료를 공급받고 있습니다. 금융당국-금융지주 회동 연기 오늘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과 4대금융 회장의 회동이 예정돼 있었는데, 일정이 20일로 연기됐습니다. 최근 정부가 금융업계에 ‘상생금융’을 주문하고, 대출도 조이고 있어서 불편한 기류가 흐른다고 해요. 토익 회계사, 세무사, 변리사 등 국가 전문자격시험에서 공인 어학성적(토익, 토플, 텝스 등) 인정 기간이 2년에서 5년으로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기업에서는 여전히 2년 이내의 .. 2023. 11.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