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387

뭐가 바뀌나 볼까? 민생규제 혁신방안 💡 작지만 큰 변화 지난 21일 정부가 서민과 소상공인의 불편을 해소할 민생 규제 혁신 방안 167건을 발표했습니다. 종량제 봉투 지역 제한 완화 등 작지만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알짜 변화가 포함돼 반응이 뜨겁습니다. ⛔ 불필요한 규제 해제 이외에도 경제 활동이나 기업 혁신을 방해하는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를 통해 현장 중심의 규제 개선을 추진하여 기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경제적 효과도 이러한 민생 규제 혁신 방안은 약 101조 원의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경제활동과 생활편의를 제약하는 각종 규제가 완화되면서 불필요한 비용 발생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뭐가 바뀌나 볼까 ➀ 서민 생활 🔁 계속 씁시다! 먼저, 다른 .. 2023. 11. 24.
한국-영국 정상회담, "다우닝가 합의" 1.8조 경제 성과 🇬🇧 손잡은 한국과 영국 정상 지난 22일(이하 현지 시각), 영국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리시 수낵 영국 총리를 만났습니다. 양국 정상은 ‘다우닝가 합의’에 서명하며 수교 140년을 기념해 여러 방면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약속했습니다. 💪 영국, 세계 5위 영국은 과거에 비해 위세가 약해졌지만, 여전히 명목 GDP 기준 세계 6위의 경제 규모를 자랑하며, G7(주요 7개국)의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국빈 방문은 찰스 3세의 대관식 이후 첫 국빈 방문으로 외교적 상징성도 충분합니다. 🗺️ G7: Group of 7의 약자로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7개국을 칭합니다. 1년에 한 번씩 각국 대통령과 총리가 참가하는 G7 정상회담이 개최됩니다... 2023. 11. 24.
금리 오르기만 하더니, 이번에는 내릴까? 🎉금리 오르기만 하더니! 맞아요. 그동안 물가 잡는다고 금리를 쭉 올려왔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22년 만에 5.5%로 최고치를 찍기도 했는데요. 요즘은 좀 더 버티면 금리가 내릴 수도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 물가 잡힌다 10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망치보다 0.1%P 낮았습니다. 식품·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2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이를 통해 물가 상승률이 잡혀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침체 직전이다 또한, 미국 경제가 침체 상황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금리가 높아지면 시장에 돈이 돌지 않아 경기침체에 빠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실업률이 높아지고 대출 연체가 많아지는 등 경기가 시들해 보이는 상황입니다. 기업 실적이 좋음에도 불.. 2023. 11. 24.
11.24 간략스 NEWSLETTER 미국 증시, 평소보다 일찍 닫아요 현지 시간 24일, 미국은 최대 소비 축제 ‘블랙프라이데이’를 맞습니다. 이날 미국 증시 마감시간도 당겨져서 오후 1시에 닫혀요. PMI 지표가 발표돼요 미국 11월 서비스업, 제조업 PMI 예비치가 발표됩니다. 각 업계의 업황이 위축됐는지, 확장됐는지 볼 수 있는 지표인데요, 서비스업의 경우 업황 확장으로 전망되지만, 10월에 비해서는 기대감이 낮아요. FOMC 11월 초, 미국 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했었습니다. 이 회의의 의사록이 공개됐는데요, 높은 금리를 꽤 오랜 기간 유지할 거라는 맥락의 이야기가 나왔었어요. 해고 미국 4대 은행 중 하나인 ‘씨티그룹’이 대규모 구조조정 중입니다. 이번에 나온 해고안에서는 고위관리자 300여 명이 대상이지만, 앞으로 .. 2023. 11. 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