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NEWSLETTER/산업 LETTER454

국내 최대 리조트그룹 대명소노, 티웨이 항공에 에어프레미아까지? 티웨이 항공 경영권 분쟁 시작👊🏻 경영개선 요구한 대명소노비발디파크 등을 운영하는 국내 최대 리조트그룹 대명소노그룹이 티웨이항공 경영권 확보에 나섭니다. 지난 20일, 대명소노그룹 자회사 소노인터내셔널은 티웨이항공을 대상으로 경영개선을 요구했는데요. 여기에는 경영진 전면 교체, 항공사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유상증자 요구 등의 내용이 담겼습니다.💬 “티웨이, 이대로는 안 돼”대명소노그룹은 현재 경영진이 회사를 이끌어 갈 능력이 없다고 질타했습니다. 경영개선요구서를 통해 "티웨이항공은 부족한 정비 비용과 인력, 항공 안전 감독에 따른 높은 개선 지시 비율로 미뤄볼 때 항공 안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라며, 연이은 과태료 처분 등으로 브랜드 이미지가 훼손됐다고 지적했죠. 💼 이사회 장악 시도.. 2025. 1. 23.
BYD, 샤오미, 미니소 등 중국 기업 한국 시장 공략나서 그 이유는? 중국산 전기차, 한국 몰려온다🚘 모습 드러낸 BYD 전기차지난 16일, 중국 전기차 기업 BYD가 한국에서 준중형 전기 SUV ‘아토3’를 출시했습니다. 가격은 최소 3,100만 원 수준으로 전기차 보조금을 받으면 2천만 원대에 구매가 가능한데요. 4천만 원대에 판매되는 경쟁 차종 기아의 ‘EV3’보다 천만 원 정도 저렴하죠. 오는 5월에는 중형 전기 세단 ‘씰’, 8월부터는 중형 전기 SUV ‘씨라이언7’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국내 시장 입지 다지자BYD는 한국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국내 소비자들과의 신뢰 형성에 힘씁니다. 소비자들과 소통하며 차량의 품질을 알리고, 신속한 사후관리(AS)를 제공하겠다는 건데요. 이에 6개 공식 딜러사와 함께 손을 잡고 서울·경기·인천·부산·제주 등 전국에 1.. 2025. 1. 23.
틱톡 금지령 75일 유예, 미국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작년 4월, 숏폼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도록 강제하는 법안이 미국 상원을 통과했습니다. 매각 기일은 270일이 주어졌는데, 이 기간 내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가 틱톡의 미국 사업을 매각하지 않는다면 서비스가 중단될 것이라는 내용이었죠. 결국 지난 18일(현지 시각) 오후 9시, 틱톡의 미국 서비스가 중단됐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틱톡 매각 기일을 75일 연장한 행정명령에 서명한 이후 재개되는 해프닝도 일어났는데요. 오늘은 미국 당국이 이토록 견제하는 틱톡이 어떤 기업인지, 그리고 왜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됐는지 알아보겠습니다.대륙의 실수, 400조 헥토콘 바이트댄스🦄 틱톡으로 헥토콘 등극한 바이트댄스틱톡은 젊은 연령대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중국의 숏폼 .. 2025. 1. 23.
연초부터 급등한 한화, 상승세 이어질 수 있을까 독주하는 한화그룹🏃 연초부터 급등한 한화한화그룹의 상장 계열사 주가가 연초부터 급등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수혜 업종을 골고루 갖췄다는 점이 주가 급등을 이끈 원동력으로 꼽히는데요. 지난 21일, 조선 업체인 한화오션은 주가가 한때 5만 5,000원까지 오르며 최근 52주 신고가를 경신했고, 항공·우주·방산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올해 들어 21.1%가량 급등했죠.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지분을 보유한 한화투자증권도 올해 주가가 10% 넘게 올랐습니다. 📈 ETF도 덩달아 급등개별 기업의 주가 상승세에 힘입어 한화그룹주 상장지수펀드(ETF)인 ‘PLUS 한화그룹주’도 올해 들어 지난 20일까지 약 21%의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이 ETF는 한화그룹의 핵심 상장 계열사에 투자하는 상.. 2025. 1.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