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NEWSLETTER/경제 LETTER334

2500선도 뚫렸다. 2023년 9월 25일, 코스피 지수는 2504.01에서 출발한 뒤, 2495.76으로 마감하며 2500선 밑으로 내려왔습니다. 이는 올해 4개월 만에 처음으로 2500선 밑으로 내려간 것으로, 하반기 증시에 대한 기대를 뒤엎는 결과입니다. 6월과 7월에는 '코스피 3000선 돌파 가능성'이 떠올랐으며 많은 투자자의 기대를 모았습니다만 현재의 하락세로 보면, 이러한 기대는 안 하는 게 나아 보입니다. 최근의 증시에서는 삼성전자와 현대차를 제외한 상위 10개 기업의 주가가 모두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이차전지 벨류체인 기업들도 전반적으로 하락했습니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는 분석도 있고 미국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긴축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발언이 나온 것도 국내 증시에 .. 2023. 10. 15.
10월부터 줄줄이 올라요.. 추석 연휴를 지나며 국내에서는 물가가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들의 생활비 부담도 커지고 있습니다. 특별한 계절 변화 없이도 일상적인 식료품부터 교통수단인 지하철까지 전반적으로 값이 오르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국경제 추석 이전부터 시작된 식료품 가격 상승은 연휴 이후에도 계속되었습니다. 매일유업, 남양유업, 서울우유 등 주요 업체가 줄줄이 가격을 인상했습니다. 매일유업은 흰우유 제품 출고가를 4~6% 상향 조정했으며, 남양유업도 ‘맛있는 우유 GT’의 출고가를 4.6% 인상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원재료인 원유 가격이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낙농진흥회는 지난 8월 원유 가격을 L당 88원 올린 1,084원으로 결정했고 인건비, 부자재 가격 상승도 한몫했습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설탕 가격까지 오르.. 2023. 10. 14.
미 연준의 금리 인상기조, 한국은행 깊은 한숨... 기준금리 때문에 한국은행이 현재 큰 고민에 빠져 있습니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인상할 수도 있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우리나라와 비교해 2% 높아 금리 역전 상태에 있습니다. 미국은 고물가 대응을 위해 기준금리를 꾸준히 올리고 있지만, 한국은행은 경기침체와 가계부채 문제를 고려해 7개월 동안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세계에서 “킹” 달러를 보유한 나라로, 미국의 금리 인상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한국 또한 이에 영향을 받는데. 그동안 한국은행은 금리를 더 올리지 않고 유지해 왔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부작용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한·미 금리 역전 기간이 길어지면 국내 투자유치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 2023. 10. 14.
모두가 주목하는 '파월' 미국은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높은 이자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 목표치는 '2%'입니다. 현재 물가는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약 2% 정도 상승했으며, 이는 물가 안정을 달성한 것으로 보겠다고 합니다. 그러나 지난 8월, 전년 대비 물가 상승률은 여전히 3.7%로 높았습니다. 최근 미국 FOMC에서도 이 문제를 강조하였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현재의 기준금리를 유지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그러나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안정될 때까지 현재의 긴축 정책을 유지할 의향을 밝혔습니다. 이로 인해 올해 내에 기준금리를 한 번 더 인상할 가능성이 있으며, 그렇게 높아진 이자율은 더 오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향후 기준금리의 시나리오를 제시하였습니다. 2023년 말: 6월 전망 5.6% -.. 2023. 9.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