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1380 티몬·위메프, 판매 대금 정산 지연 불안정한 재무구조가 원인 티몬·위메프, 판매 대금 지연💰 티몬·위메프, 정산 문제로 셀러 이탈 중티몬, 위메프 등 싱가포르 전자상거래 업체 큐텐의 계열사에서 판매자에게 대금을 제때 주지 못하는 정산 지연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일부 판매자는 소비자에게 구매 취소를 안내하는 한편, 티몬과 위메프 등에서 상품 판매를 중단했는데요. 롯데백화점 등 대다수 유통업체는 티몬과 위메프에서 아예 철수하기도 했습니다.🎤 전격 보상안도 발표했지만지난 17일, 큐텐은 문제의 원인이 일시적인 전산 시스템 오류라고 밝혔습니다. 또 판매자의 추가 이탈을 막기 위해 연 10% 이율로 지연 이자를 지급하는 동시에 지연 금액의 10%를 큐텐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로 제공하겠다는 보상안도 발표했는데요. 이례적으로 정산 지역 현황까지 공개하며 7월 .. 2024. 7. 24. AI발 전력 수요 폭증, 탄소배출권으로 막는다 최근 기업들이 폭풍 구매에 나선 것이 있습니다. 바로 탄소배출권인데요. “지구를 위해 온실가스 줄이자!”라고 전 세계가 함께 세운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워지자 일종의 치트키를 쓴 건데요. 탄소배출권이 뭐야?말 그대로 탄소(온실가스)를 내보낼 수 있는 권리입니다. 정부는 기업에 “올해는 온실가스 이만큼만 배출해야 해!” 할당량을 미리 정해주는데요. 할당량보다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하면 → 탄소배출권을 팔아 수익을 챙길 수 있도록 해 온실가스를 줄이도록 유도합니다. 탄소배출권을 팔아 많은 돈을 번 기업 중 대표적인 곳이 미국의 전기차 기업 테슬라인데요. 테슬라는 지난해 탄소배출권 판매로만 약 2조 원이 넘는 매출을 올렸습니다. 반대로 할당량보다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면 → 탄소배출권을 구입해야 합니다. 최근 .. 2024. 7. 24. 두산그룹, SK그룹 합병 비율 논란 알아보기 💡 3줄 요약 합병되는 두 회사 중 소멸회사의 주식을 존속회사의 주식으로 바꿔주는 비율을 합병비율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자본시장법에 의해 합병비율을 정할 때 상장법인은 대부분의 경우 주가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최근 두산그룹, SK그룹의 사업 재편 과정에서 합병비율이 많은 논란을 낳았습니다.요즘 두산그룹과 SK그룹의 지배구조 개편에 관한 뉴스가 쏟아져 나옵니다. 두 그룹 모두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계열사 간 합병을 발표했는데요. 이 합병 과정에서 계열사 간 합병비율이 논란의 불씨가 됐습니다. 오늘은 두 기업의 합병 과정에서 합병비율이 어떻게 정해지는지, 그리고 두산그룹과 SK그룹의 사례에서 합병비율이 어떤 논란을 낳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합병비율, 어떻게 정할까?🧮 기업의 가치를 측정하는 .. 2024. 7. 23. AI 관련 비용 줄이기 위해 탈 엔비디아 나서는 기업들 탈 엔비디아, 이유는?🥇 AI 칩=엔비디아AI 학습에 필요한 AI 가속기 시장의 98%는 엔비디아의 몫입니다. AI 가속기에 들어가는 필수 부품인 GPU 역시 엔비디아가 80% 점유율로 시장을 꽉 잡았죠. 🔍 GPU(Graphic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 컴퓨터에서 그래픽 연산을 처리해 결괏값을 모니터에 출력하는 연산 장치입니다. 수많은 단순 계산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 많은 연산이 필요한 AI 학습에 널리 활용됩니다. 이외에도 비디오 카드, 휴대전화, PC 등 다양한 장치에 쓰이죠. ⏳ 비싸고 오래 걸려!이렇게 수요가 몰리다 보니 엔비디아의 주력 AI 가속기인 ‘H100’ 가격은 4만6천 달러(약 6,400만 원)까지 치솟았는데요. 그마저도 칩을 받기까지 50주 이상 걸.. 2024. 7. 23. 이전 1 ··· 81 82 83 84 85 86 87 ··· 34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