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385

우리은행, 친인척 부당 대출 우리은행, 친인척 부당 대출📉 특혜성 부당 대출지난 12일,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친인척 관련 불법 대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우리은행이 2020년 4월부터 올해 1월까지 손 전임 회장의 친인척에게 총 616억 원의 대출을 해준 건데요. 이 가운데 절반이 넘는 350억 원 규모의 대출이 일반적인 대출 시스템을 따르지 않은 특혜성 대출로 의심됩니다.🤔 우리은행이 또?이번 금융 사고는 2022년 700억 원대 횡령 사건, 올해 6월 180억 원대 횡령 사건에 이어 또다시 우리은행에서 발생한 문제입니다. 이번에는 신용등급을 근거 없이 상향 평가해 주거나 가치 없는 담보물을 근거로 대출해 주는 등 다양한 방법이 동원됐는데요. 우리은행은 해당 부적정 대출을 처리한 직원 임모 씨를 면직 처리했고, 사문.. 2024. 8. 23.
영화값 논란, 평일 1만 4천 원, 주말 1만 6천 원~2만 원 수준 영화관, 자주 가세요?🔥 최민식의 작심 발언"극장 가격 많이 올랐잖아요. 좀 내려주세요. 나라도 안 가요." 지난 17일, 최민식 배우가 영화 티켓 가격이 비싸다며 일침을 날렸습니다. 영화 산업이 위기를 맞았다는 의견에 입장을 밝힌 건데요. "요즘 영화값이면 스트리밍 서비스로 여러 개를 보지, 발품 팔아서 가겠냐?"라고도 지적했습니다. 🚀 코로나 이후 확 오른 영화값국내 주요 멀티플렉스의 티켓값은 평일 1만4천 원, 주말 1만6천 원~2만 원 수준입니다.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 약 3~4천 원 올랐죠. 국내 멀티플렉스 3사(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주말 영화값을 3차례 인상했습니다. 상승률은 무려 40%에 달하죠.🗺 다른 나라보다도 비싸네전 세계.. 2024. 8. 23.
달러/원 환율이 1,330원대로 하락, 미국 기준금리 인하가 임박한 영향 달러/원 환율, 낮아지는 이유는?📉 환율 5개월 만에 최저지난 20일, 달러/원 환율이 1,332.2원(주간 거래 종가 기준)을 기록했습니다. 지난달 말까지만 해도 1,380원대를 넘나들다가 어느새 1,330원대로 주저앉은 건데요. 특히 지난 19일, 하루에만 달러/원 환율이 23.6원이나 떨어지면서 지난 3월 21일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 미국 기준금리 내린대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오는 9월 기준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커진 영향입니다. 최근 들어 미국 실업률이 오르는 등 경기 침체 조짐이 나타나면서 시장은 9월 금리 인하가 확실히 이뤄질 것이라 바라보죠. 🤔 한은은 아직 신중반대로 한국은행은 오는 22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전망입니다. 물가가 안정세긴 .. 2024. 8. 21.
다시 유행하는 엠폭스, 관련주가 반등 다시 유행하는 엠폭스😷 코로나19에 이어 엠폭스?엠폭스(MPOX·옛 명칭 원숭이두창 바이러스)가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다시 유행 중입니다. 올해 초부터 지난 19일까지 집계된 아프리카의 엠폭스 확진자만 해도 1만 6,700명에 달하는데요. 사망자도 500명을 넘어섰습니다. 지난 14일, 세계보건기구(WHO)는 엠폭스에 대한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1년 3개월 만에 다시 선포했습니다. 🔍 엠폭스(MPOX·옛 명칭 원숭이두창): 엠폭스는 급성 발진성 감염병으로, 1958년 덴마크의 실험실 사육 원숭이에서 처음 발견됐습니다. 그렇게 ‘원숭이두창’으로 불리다가 원숭이와 관련 없는 질병이라는 전문가의 주장과 함께, 질병명이 특정 집단, 인종, 지역에 대한 차별적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 2024. 8.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