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LETTER/사회 LETTER

청년 대출 완벽 정리, 버팀목부터 디딤돌까지

by 칲 조 2025. 2. 11.
728x90
반응형

 

경제적 여유가 없는 청년들은 안락한 보금자리 마련을 위해, 혹은 경제적 구멍을 메꾸기 위해 대출을 찾곤 합니다. 이런 청년들을 위해 정부와 각 금융기관에서는 청년 맞춤 대출 상품을 여럿 내놓았는데요. 오늘은 청년만이 누릴 수 있는 혜택, 청년 대출 상품을 소개해 드립니다!


🏠 전세자금 대출 소개에 앞서!

전셋집을 구하기 위해선 대부분 1억 원이 넘는 전세 보증금을 마련해야 합니다. 하지만 사회 초년생을 비롯한 청년이라면 보증금을 한 번에 내기 어려울 수 있는데요. 이럴 땐 전세자금 대출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전세자금을 담보로 돈을 빌려주는 만큼, 보증기관도 중요한데요. 보증기관이 대출을 보증하면 대출이 한결 쉬워집니다. 주요 보증기관으로는 한국주택금융공사(HF)와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올해부터 HF, HUG 등 보증기관의 전세대출 보증 비율을 대출금의 90%로 일원화하기로 하고, 수도권에만 80% 수준의 보증 비율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므로 이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HF: 전세자금 대출을 보증하는 보증기관입니다. 보증료율은 대출금의 약 0.05~0.22%, HUG보다 저렴합니다.

 

HUG: 전세자금 대출과 함께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까지 함께 보증해 주는 기관입니다. 세입자가 전세보증금을 임대인에게 받지 못하는 경우 HUG가 이를 반환해 주죠. 다만 보증료율이 대출금의 약 0.12~0.15%(반환보증 포함 시 0.192%), 다소 높은 편입니다.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은 주택도시기금이 아주 낮은 금리로 전세자금을 빌려주는 청년 전용 대출 상품입니다.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4% 내외)보다 훨씬 낮은 금리로 전세자금을 빌려줘, 전세자금이 부족한 청년들에겐 제격인 상품입니다. 우대금리, 추가 우대금리 혜택까지 챙기면 연 1%대의 금리로 전세자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시중은행과 달리 소득이 없거나 적어도 대출이 가능하죠.

 

대상: 19~34세의 단독 세대주(예정자 포함)

 

소득 기준: 부부 합산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신혼가구 7,500만 원 이하, 미성년 자녀 2명 이상 가구 6천만 원 이하

 

대출 금리: 1.0~3.1%

(부부 합산) 연 소득 대출 금리
~ 2천만 원 2.0%
2천만 원 ~ 4천만 원 2.3%
4천만 원 ~ 6천만 원 2.7%
6천만 원 ~ 7.5천만 원 3.1%

 

구분 우대금리
연 소득 4천만 원 이하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1.0%P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한부모 가구 1.0%P
장애인, 노인부양, 다문화, 고령자 가구 0.2%P
주거안정 월세대출 성실납부자(중복 가능) 0.2%P
부동산 전자계약 체결(중복 가능) 1.0%P
다자녀 가구(중복 가능) 1자녀 0.3%P
2자녀 0.5%P
다자녀 0.7%P
청년 가구(중복 가능) 0.3%P

 

대출 한도: 2억 원(25세 미만 단독 세대주는 1.5억 원)

 

대출 비율: 임차보증금의 80% 이내 혹은 2억 원 중 더 적은 금액

 

대출 조건

전세보증금 3억 원 이하, 85(26) 이하(*25세 미만 단독 세대주일 시, 전용면적 60이하)인 주택 *주택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고 임차보증금의 5% 이상을 지급 완료한 상태여야만 가능

 

대출 기간: 2(4회 연장 가능)

 

다만, 소득이 많은 청년은 대출 이용 자체가 불가합니다. 대출 한도가 2억 원으로 제한돼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하죠.

 

🏢 중기청이 버팀목에 통합된다고?

이른바 중기청으로 불리던 중소기업 청년 전세 대출이 올해부터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과 합쳐집니다. HUG 보증을 활용해 최대 1억 원까지 대출받을 수 있었던 중기청은 1.5%의 고정금리로 보증금의 100%까지 빌릴 수 있어서 인기를 끌어왔는데요. 올해부턴 중소기업 청년 전세 대출이 폐지됐습니다.

 

대신 이제 중소기업 재직자나 전자계약 체결자는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내에서 최대 0.3%P의 우대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 소득이 5천만 원을 넘지 않는다면 최종 금리를 1%대까지 낮출 수 있죠.

 

💰 전세대출 갈아타고 싶다면?

이용 중인 전세자금 대출보다 더 낮은 금리나 유리한 조건의 상품이 있다면 대출 갈아타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대신 기존 전세대출 실행 후 3개월이 지나고, 전세 계약 기간의 절반이 지나지 않아야만 가능한데요. 대출 보증기관도 전후 대출이 동일해야 합니다. , HF의 보증을 받았다면 갈아타는 대출도 HF의 보증을 받아야 하는 거죠. 다만,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은 대출 갈아타기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청년 전용 보증부월세 대출

정부에서 청년을 대상으로 저금리 대출을 하는 상품입니다. 전월세 보증금과 월세 자금을 지원하는데요.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과 마찬가지로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대출이지만, 청년 전용 보증부월세 대출은 전세금뿐만 아니라 전월세 보증금과 월세를 함께 대출받을 수 있습니다. , 월세 거주자라면 보증부월세 대출만 이용할 수 있죠.

 

신청자 요건: 부부 합산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순자산 가액 3.37억 원 이하 무주택 단독 세대주

 

대출 금리: 보증금 연 1.3%, 월세금 연 0%(20만 원 한도), 1.0%(20만 원 초과)

 

대출 한도: 보증금 최대 4,500만 원 이내, 월세금 최대 1,200만 원 이내

 

대출 기간: 25개월(최장 105개월)


청년 주택 드림 대출

새롭게 출시된 청년 주택 드림 대출은 청년 주택 드림 청약 통장과 연계된 대출 상품으로, 청약 당첨 시 낮은 금리로 대출을 해 주는 상품입니다. 청년 주택 드림 청약 통장에 1년 이상, 1천만 원 넘는 금액을 납입한 이력이 있다면 청년 주택 드림 대출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청년 주택 드림 청약 통장을 이용해 청약에 당첨되면 최저 2.2%의 낮은 금리로 돈을 빌릴 수 있는 겁니다.

 

신청자 요건: 가입 시점 기준 만 20~39세 무주택자

 

소득 요건: 연 소득 7천만 원 이하(부부 합산 연 소득 1억 원 이하)

 

주택 요건: 분양가 6억 원 이하의 주택, 전용면적 86이하

 

대출 금리: 최저 연 2.2% 고정금리

구분 우대금리
결혼 0.1%P
첫 자녀 출산 0.5%P
추가 자녀 출산 시 1명당 0.2%P

 

대출 한도: 분양가의 최대 80%

 

대출 기간: 최장 40


디딤돌 대출

내 집 마련을 꿈꾼다면 주택 구입 자금을 빌려주는 디딤돌 대출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소득이 낮은 청년이나 신혼부부가 디딤돌 대출을 이용하면 낮은 금리로 구입 자금을 대출받을 수 있는데요. 원금과 이자를 매달 납부하는 원리금 균등 분할 방식이나 초반엔 적은 금액으로 갚아 나가다가 점차 큰 금액으로 갚아가는 체증식 방식으로 상환할 수 있습니다.

 

신청자 요건: 19세 이상 무주택자

 

소득 요건: 미혼 청년 6천만 원 이하(생애 최초 주입 시 7천만 원), 신혼부부 합산 7천만 원 이하, 순자산 가액 4.88억 원

 

주택 요건: 주택 가격 5억 원 이하, 전용면적 85이하

 

대출 한도: 개인 2.5억원 이내,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 3억원 이내, 신혼가구 및 2자녀 이상 가구 4억원 이내

 

상환 기간: 10~30

 

대출 금리: 2.65~3.95%

소득
(부부 합산 연 소득)
10 15 20 30
~ 2천만 원 2.65% 2.75% 2.85% 2.90%
2~4천만 원 3.00% 3.10% 3.20% 3.25%
5~7천만 원 3.35% 3.45% 3.55% 3.60%
7~8.5천만 원 3.70% 3.80% 3.90% 3.95%

 

구분 우대금리
중복 적용 불가 연 소득 6찬만 원 이하 한부모 가구 1.0%P
장애인 가구 1.0%P
다문화 가구 1.0%P
신혼 가구 1.0%P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 1.0%P
중복 적용 가능 청약저축가입자 1.0%P
부동산 전자계약 체결 1.0%P
다자녀 가구 1.0%P
신규 뷴양주택 가구 1.0%P
대출 신청 금액이 대출 심사 산정액의 30% 이하인 경우 1.0%P
대출 1년 경과 후, 중도상환 금액이 대출 원금의 40% 이상인 경우 1.0%P

 

디딤돌 대출을 알아볼 때 주의해야 하는 건 주택의 평가액 산정 방법입니다. 디딤돌 대출은 KB국민은행의 시세 정보의 일반 평균가를 우선 적용하는데요. 실제 매매가격이 6억 원이라도 KB시세가 55천만 원으로 제시돼 있다면 55천만 원을 기준으로 대출 한도가 계산됩니다. 만약 KB시세가 없는 경우, 한국부동산원 시세 정보의 하한 평균가와 상한 평균가의 평균을 주택 가격으로 적용합니다.


청년 생활비 대출

고물가 기조가 계속되는 요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은 학업과 경제 활동을 병행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요. 생활비가 부족한 대학생 및 대학원생이라면 한국장학재단의 청년 생활비 대출을 이용해 볼 수 있습니다. 학기 중 필요한 숙식비, 교재비 등 생활비를 학기당 200만 원까지 대출받을 수 있죠. 우선 자금을 빌려 생활한 후, 소득 발생 시점부터 소득 수준에 맞는 원리금을 상환하면 됩니다.

 

신청 기간: 25.01.03.~25.05.20.

 

대출 금리: 1.7%(20251학기 기준, 변동금리)


오늘은 청년이라는 조건만으로 좋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청년 전용 대출에 대해 다뤄봤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조건일지라도 본인에게 맞는 조건을 꼼꼼히 따져보는 게 중요합니다. 대출이 필요할 때 이번 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