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LETTER/산업 LETTER

해외 여행 수요는 느는데 예전만 못한 면세점

by 칲 조 2024. 6. 27.
728x90
반응형

 

해외여행의 묘미로 꼽혔던 면세점 쇼핑, 이젠 옛말이 된 듯합니다. 치솟는 환율과 물가에 면세점 쇼핑의 매력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인데요. 롯데, 신라, 신세계 빅3로 꼽히는 면세점 중 누가 먼저 손을 털고 나가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라는 말까지 들리죠.


면세업계가 휘청인다고?

🍂 예전만 못한 면세점

엔데믹 첫해였던 작년, 면세점을 찾은 고객 수는 2,209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절반에 불과한데요. 매출도 약 137천억 원가량으로 2019년의 55%에 그쳤습니다.

📉 이어지는 적자 행진

매출 기준 업계 1위인 롯데면세점은 작년 3분기부터 영업 손실을 이어가는 중입니다. 누적 적자 규모만 537억 원에 달하죠. 신세계면세점 역시 작년 3분기와 4분기 누적 460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고, 현대백화점면세점은 올해 1분기 157억 원의 영업 손실을 봤습니다.

 

🚨 비상 경영 돌입이다!

급기야 롯데면세점은 지난 25일 비상 경영 선언문을 발표했습니다. 다음 달부터 모든 임원의 급여를 20% 삭감하고, 하반기엔 직원 대상 희망퇴직을 예고하는 등 대규모 개편에 나섰습니다. 2022년 팬데믹 여파로 첫 희망퇴직을 실시한 지 약 1년 반 만입니다.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 매장 모습


왜 면세업계는 아직도 한파일까

🤑 환율 높아서 굳이?

면세점의 부진 요인으로 꼽히는 건 먼저 고환율 환경입니다. 면세점은 달러 가격이 기준이라, 달러 강세가 심해질수록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데요. 20191,100~1,200원 선이었던 달러/원 환율은 1,400원이 눈앞입니다. 면세점 이용과 시중 구매의 차이가 희미해진 상황입니다.

🇨🇳 따이공의 외면

중국 단체 관광객과 따이공으로 불리는 중국 보따리상의 영향력이 줄어든 것도 악재였습니다. 국내 면세업계는 매출 대부분을 이들에게 의존했는데요. 한국의 고물가 기조와 엔화 가치 하락으로 이들의 한국 쇼핑 관광 선호도는 약해졌고, 면세업계의 실적도 함께 하락했습니다. 작년 1~12월 중순 롯데면세점의 중국인 매출은 2019년 대비 40% 줄었죠.

🌐 여행객이 달라졌다

외국인 관광객은 점점 면세점 쇼핑에 지갑을 열지 않는 추세고, 관광 트렌드 자체가 쇼핑보다는 한국 문화를 즐기는 쪽으로 변화하기도 했는데요.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외국인이 선호하는 국내 쇼핑 장소는 로드숍, 백화점, 대형 쇼핑몰, 시내면세점 순이었습니다.


사면초가 면세업계, 돌파구는?

💸 면세점 몸집 줄이기

면세업계는 일단 허리띠를 졸라맸습니다. 한때 외국 관광객을 중심으로 문전성시를 이뤘던 시내면세점의 규모를 줄이는 것이 대표적인데요. 신세계면세점 강남점은 미식 공간인 하우스 오브 신세계로 탈바꿈했고, 국내 1호 면세점이었던 동화면세점은 작년 지하 1층 영업장을 매각했습니다. 롯데면세점도 국내 시내면세점 중 가장 큰 규모인 월드타워점 규모를 축소하기로 결정했죠.

🏬 면세점, 이래도 안 와?

면세업계는 면세점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단독 브랜드를 유치하거나 체험 공간을 제공하는 방식으로도 대응에 나섰습니다. 지난 19일 신라면세점은 온라인 주류 플랫폼 데일리 샷에 전문관을 개설했고, 롯데면세점은 팝업스토어를 운영하며 2030 세대 고객층 공략을 시도합니다.

🛬 여행객 임대료는 변수

인천공항공사와 신라면세점, 신세계면세점, 현대백화점면세점 3사는 작년 입찰 당시 여객당 임대료 방식 도입에 합의했습니다. 고정 임대료를 받지 않고 여객 수에 따라 임대료를 산정해 면세업계의 부담이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데요. 그러나, 여객 수 증가가 매출 증가를 보장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면세업계의 부담이 더욱 커질 위험도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